홈 이재용의 삼성전자, 일본서 파는 스마트폰에 'SAMSUNG' 로고 박고 정면돌파한다

이재용의 삼성전자, 일본서 파는 스마트폰에 'SAMSUNG' 로고 박고 정면돌파한다

삼성전자가 일본 판매 스마트폰에 'Galaxy' 로고 대신 'SAMSUNG' 로고를 사용하기로 했다.

인사이트이재용 회장 / 뉴스1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한국 기업에 대한 극렬한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일본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삼성전자는 그간 'SAMSUNG'을 최대한 숨겨왔다.


하지만 이미 일본 기업들과 경쟁에서 모두 승리한 삼성전자는 최근 달라진 마인드로 일본 산업에 접근하고 있다.


전 세계 유일하게 스마트폰에 'SAMSUNG' 로고 대신 'Galaxy' 로고를 사용해온 삼성전자가 이번에 초강수를 두기로 했다.


인사이트(좌) 일본을 제외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갤럭시 S22 / Android Authority , (우) 일본에서 판매되고 있는 갤럭시 S22 / 携帯総合研究所


지난 28일 업계 관계자들 전언에 따르면 삼성전자 재팬은 기존 온라인 웹사이트였던 '갤럭시모바일 재팬'을 '삼성 재팬'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일본에 출시할 때 새겨지던 'Galaxy' 로고 역시 한국·글로벌 시장과 같은 'SAMSUNG'으로 변경될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삼성전자는 유독 일본에서만 스마트폰에 'SAMSUNG' 로고를 숨겨왔다. 한국 기업의 제품을 잘 사지 않으려는 일본 소비자들 성향 때문에 현지 통신사들이 요청해왔기 때문이다.


인사이트사진=인사이트


실제 일본 소비자들의 한국 기업 제품 선호도는 극히 낮다. 전 세계 소비자들이 가전을 삼성전자·LG전자를 사용하는 가운데서도 꿋꿋하게 자국 기업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인사이트YouTube 'Galaxy Mobile Japan'


이런 상황이 해소된 것은 아니지만, 삼성전자 측은 판매량에서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글로벌 브랜드 일원화'가 더 맞는 방향이라 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애플이 아직 내놓지 않은 폴더블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중국 기업들과 기술력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만큼 선전할 수 있으리라는 예측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인사이트사진=인사이트


알려진 바에 따르면 현재 일본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나머지를 샤프, 소니, 교세라 등이 차지하는 상황이다.


폴더블폰에 대한 관심 증가와 삼성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어떤 결과를 낳게 될지 주목된다.